부동산 법률,계약공부

2022년 부동산 전망

공블 2021. 12. 30. 20:42
반응형

 

2021년 부동산 시장은 정말 다이나믹했습니다.

2020년 7월 부동산 대책 이후 집값 1차 폭등

부동산 정책이 나올 때마다 수직 상승하여

집이 없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꼈던 한 해였습니다.

집이 없으면 벼락 거지가 된 기분이라던 지인의 말을 듣고 

정말 씁쓸했던 한해였습니다...

 

유주택자의 경우에는

2021년 6월 1일 공시지가를 너무 올리는 바람에 재산세 폭탄

종부세 폭탄으로 아파트 한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세금폭탄을 맞았습니다.

 

열심히 돈 모아 집 한 채 마련한 분들도 많으신데

주택이 있단 이유만으로 투기 아닌 투기꾼이 된 거 같은 지인분도 계셨습니다.

 

올 해 12월 부동산 시장은 엄청난 침체기였습니다.

대출규제 강화로 시장이 얼어붙었죠.

매수자 급감으로 매도자 우위가 되며

일시적으로 집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그럼 2022년 집값은 어떨까요?

뉴스 기사를 보며 정리해보겠습니다.

 

집값 안 떨어져… 앞으로 56년 더 간다 깜짝 전망 | 한경닷컴 (hankyung.com)

 

"집값 안 떨어져…앞으로 5~6년 더 간다" 깜짝 전망

"집값 안 떨어져…앞으로 5~6년 더 간다" 깜짝 전망, 부동산 전문가 121명 설문 실수요자 1분기 안에 내집마련을 '투자 1순위'는 재개발·재건축 67% "전셋값 상승 압력 더 커져"

www.hankyung.com

부동산 전문가 121명 설문

 

실수요자 1분기 안에 내 집 마련을
'투자 1순위는 재개발, 재건축'
67% "전셋값 상승 압력 더 커져"

 

대출규제, 기준금리 인상으로 조정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6명은 내년에도 집값은 오를 것

실수요자는 대통령 선거(3월)가 치러지는 내년 1분기에

내 집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합니다.

 

새해 아파트 매매값 전망은?

전문가 121명을 상대로 설문한 결과 55.4%가 상승한다고 대답했으며

22.3%가 보합을 예측했습니다.

 

집값 상승 원인은?

신규주택 공급 부족(70%)

현재 재개발, 재건축이 속도를 내더라도 빨라야

최소 2024년은 되어야 공급이 조금은 풀릴 것으로 예측됩니다.

북아현 2구역, 3구역만 봐도 7,000세대 공급 예정이지만 빨라야 2027년 입주입니다.

서울만 하더라고 5~6년은 족히 걸릴 것이기 때문에

향후 5~6년간 급격한 상승세는 아니어도

꾸준히 우상향 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집값 상승을 이끌 지역은?

73.1%가 서울 강남 4구(강남, 서초, 송파, 강동)를 뽑았습니다.

공급에 비해 수요가 과잉이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아파트 전셋값 전망은?

67.8%가 아파트 전셋값 매매 가격보다 상승 압력이 클 것으로 응답했습니다.

임대차 3 법의 후유증으로 전셋값이 폭등을 했는데요.

내년 8월부터 작년 7월 말 새 임대차 보호법 시행에 따라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한 세입자들의 계약이 만료되기 때문에

응답자 37.8%(복수 응답)는 ‘계약갱신청구권 만료’를 전셋값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집값 안정은 당분간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상승폭은 덜하겠지만 공급물량이 풀릴 때까지 지속적인 우상향으로 예측됩니다.

내 집 마련하실 분들이라면 매도자 우위 시장에 있을 때가 그나마 집값이 보합권이거나

약간 하향하기 때문에 이때가 매수 적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2021년 한 해동안 코로나와 집값 상승, 전셋값 폭등,

여러모로 우리 모두에게 힘든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2022년에는 일상 회복과 집값 안정으로 

주거와 생활의 안정을 진심으로 바랍니다.

2022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