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 뜻과 한국의 사례로 보는 젠트리피케이션
1.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뜻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시의 노후된 지역이 재개발되면서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유입되고,
기존의 저소득층이 치솟는 집값을 이기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2. 한국의 사례로 보는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은 21세기 들어 급격히 진행되었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1) 홍대
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주자인 홍대는 1990년대부터 젊은 예술가와 문화인들이
모여들면서 새로운 문화 중심지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대형스토어들이 들어서면서 상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며
소형상점들의 상인들과 젊은 아티스트들은 치솟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떠나는 현상이 발생했다.
(2) 이태원 경리단길
경리단길은 용산 미군기지 인근에 위치한 주택가였다.
그러나 미군기지 이전 이후 젊은 층이 유입되면서 상권이 급속히 변화했다.
그 결과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기존의 주민들이 쫓겨나는 현상이 발생했다.
(3) 종로 서촌
서촌은 조선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한옥 마을이다.
종로구 익선동은 요즘 핫플레이스로 급부상하는 곳이다.
한옥을 개조한 퓨전상점이 많이 생겨나며 젊은층과 관광객들이 유입되면서
상권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기존의 주민들이 쫓겨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조용한 주거환경을 원했던 거주민들 역시 반강제로 터전을 떠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3. 젠트리피케이션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모색
(1)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임대료와 집값이 상승하여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이,
그들이 일궈온 삶의 터전이 위협받게 되었다.
(2) 기존의 주민과 새로운 주민 사이의 빈부격차로 인한 갈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3) 지역 고유의 문화(아이덴티티)가 상실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소득이 낮은 계층의 주거보장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역 문화 보존 등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해 구도심을 활성화 시키는 것도 좋지만,
이를 통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신중하고 균형있는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