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공부

[민법계약] 전부타인권리매매_행정사10회 기출문제3번 모범답안 정리

공블 2024. 2. 5. 10:39
반응형

 

이 문제의 논점은 전부 타인권리 매매의 매도인의 담보책임의 문제이다.

사례형으로 되어 있지만 논점을 찾는 데 특별한 어려움이 없는 부분이다.

 

[문제 3] X토지가 甲소유임을 알고 있는 乙은 자신의 명의로 X토지를 丙에게 매도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乙과 丙 사이에 체결된 X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의 효력 및 乙이 X토지의 소유권을 丙에게 넘겨주지 못하는 경우에 丙이 乙에게 물을 수 있는 담보책임의 내용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0점)

 

모범답안1. 박문각 조민기 강사님

 

목차정리

 

1.X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의 효력

2.丙이 乙에게 물을 수 있는 담보책임의 내용

(1)계약해제권 (2)손해배상청구권 (3)권리행사기간 (4)선의의매도인의 해제권


1. X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의 효력

 

사안은 乙과 丙의 매매계약에 있어 매매 목적물인 X토지의 소유권이 매도인 乙이 아니라 타인 甲에게 속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원시적(객관적‧전부)불능은 아니므로 그 매매계약 자체는 유효하다.

 

2. 丙이 乙에게 물을 수 있는 담보책임의 내용

 

⑴ 계약해제권

매수인 丙은 그의 선의·악의를 묻지 않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제570조 본문).

 

⑵ 손해배상청구권

① 매수인 丙이 선의라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제570조 단서).

② 이 경우의 손해배상은 원칙적으로 타인의 권리를 이전하는 것이 불능으로 된 때의 목적물의 시가, 즉 이행이익 상당액이다.

 

⑶ 권리행사기간

매수인의 해제권과 손해배상청구권의 행사기간에 관해 따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⑷ 선의의 매도인의 해제권

선의의 매도인은, 매수인이 선의인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하고, 매수인이 악의인 경우에는 손해배상 없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제571조).

사안에서 매도인 乙은 악의이므로 이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없다.

 

 

모범답안2. 합격의 법학원 김묘엽 강사님

 

목차정리

 

I.논점의 제기

II.매도인의 담보책임

 1. 의의 2. 요건 3. 책임내용 4.선의의 매도인의 해제권

III.사안의 검토


Ⅰ. 논점의 제기

X토지의 소유권을 넘겨주지 못하는 경우에 丙의 乙에 대한 계약해제와 손해배상청구가 문제된다.

 

Ⅱ. 매도인의 담보책임

1. 의의

매도인의 담보책임이란 매매의 대상인 권리에 흠결이 있거나 물건에 하자가 있는 경우에 매도인이 매 수인에 대하여 부담하는 책임을 말한다.

2. 요건

가. 매매계약이 유효하게 성립할 것

 

담보책임은 확정적 유효인 매매계약의 ‘출연의 등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정되는 매도인의 무과실책 임이다.

 

나. 매매의 목적이 된 권리의 전부가 타인에게 속할 것

 

타인의 권리를 매매한 경우에도 계약은 유효하며, 매도인은 그 목적물을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하 여 줄 의무가 있다(대판 1993.08.24. 93다24445).

 

다. 매도인이 권리의 전부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할 수 없을 것

 

후발적 불능이란 계약의 내용이 계약체결 후부터 불능상태인 경우를 말한다.

불능은 사회통념에 비추 어 이행의 실현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대판 2003.01.24. 2000다22850).

 

라. 목적물이 현존하고 있을 것

 

목적물 자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거나 소멸한 경우에는 담보책임이 문제되지 않는다.

 

3. 책임 내용

가. 계약해제권

매도인이 권리 전부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할 수 없는 때에는 매수인은 선의·악의를 묻지 않고 계약 전부를 해제할 수 있다(제570조 본문).

 

나. 손해배상청구권

매매계약 당시에 매매 목적물에 대한 권리 전부가 타인에게 속함에 대하여 매수인이 선의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지만(제570조 단서 반대해석). 악의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한다(제57 0조 단서).

 

4. 선의의 매도인의 해제권

매매계약당시에 매매 목적물에 대한 권리가 자기에게 속하지 아니한다는 흠결이 있음을 알지 못한 매 도인이 그 권리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할 수 없는 경우에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예외적인 권리를 민법은 인정한다(제571조).

매수인이 선의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하고 해제할 수 있지만(제571 조 제1항), 매수인이 악의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을 하지 않고 해제할 수 있다(제571조 제2항).

 

Ⅲ. 사안의 검토

X토지의 소유권을 넘겨주지 못하는 경우에 丙이 선의인 경우 乙에게 계약해제와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고, 丙이 악의인 경우 乙에게 계약해제만 할 수 있고, 손해배상청구는 할 수 없다

 

 

민법계약 행정사10회 기출문제 더보기

 

https://lifegrida.tistory.com/41

 

[민법계약 기출 모범답안]임대차보증금 반환 청구권의 소멸시효_행정사10회 문제1 물음1

제1문의 ⑴은 임대차보증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문제였고, 보증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최신판례가 있어서 출제가 예상되었다._조민기 교수님 총평 中 [문제 1] X주택의 소유자 甲

lifegrida.tistory.com

https://lifegrida.tistory.com/42

 

[민법계약]해제와 제3자 보호, 임차인의 대항력 행정사2차 10회 기출 문제 1-2 모범답안 정리

이 문제의 논점은 해제와 제3자 보호 문제와 주택임대차에서 임차인의 대항력 여부로 모범답안이 정리되었다. 조민기 강사님은 해제와 제3자 보호에 논점을 두고 간단하게 모범답안을 작성하였

lifegrida.tistory.com

https://lifegrida.tistory.com/43

 

[민법계약]2인 조합에서 1인이 사망한 경우 조합의 존속여부와 조합채무의 범위_행정사10회 기출

2인 조합에서 1인이 탈퇴한 경우의 법률관계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제2문 조합원의 탈퇴는 9회와 비슷한 사안으로 10회에 다시 출제되었다. -조민기강사님 총평 中- 이 문제의 논점은 조합원

lifegrida.tistory.com

 

반응형